- 신통력은 허상이다: 절벽 기적과 논리적 사고
- 기적과 신통력: 한국 불교 설화의 숨겨진 과학
- 땅에서 솟은 돌부처: 기적 아닌 물리적 속임수
- 산신령의 신통력? 자연현상으로 풀어보는 기적
- 기적을 믿지 않는 삶: 논리와 지혜로 사는 법
- 한국 무속신앙과 기적: 믿음의 허상을 벗기다
- 불가사의는 없다: 과학으로 이해하는 기적의 진실
- 내경도와 자연법칙: 기적 없는 삶의 지혜
- 기적에 현혹되지 말라: 마음 수련으로 찾는 진실
기적은 없다 신통력도 없다
수십 년 전에 실제로 있었던 일이다. 한 승려가 어느 마을 근처에 땅을 하나 마련하여 초막을 짓고 조그마한 불상을 모신 다음 탁발(托鉢)을 다녔다. 그런데 그 마을에는 제법 역사가 오랜 절이 하나 있어서 신도들이 그 절에만 가고 새로 생긴 절에는 신도들이 모이지 않았다. 자신이 공부를 한 중이라고 선전을 해서 신도들을 모으려고 열심히 탁발을 다녔으나 별로 효과가 없었다.
어느 날 스님은 자신의 초막 옆에 있는 땅이 점점 갈라지고 있다는 소문을 냈다. 그 소문을 듣고 마을 주민들이 그 곳에 가서 보니 정말로 땅이 갈라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땅이 점점 크게 갈라지더니 땅속에서 돌부처의 머리가 천천히 솟아나왔다. 땅속에서 돌부처가 솟아오르고 있다고 소문이 나자 사람들이 떼를 지어 몰려와서 구경을 하고 그 앞에 절을 하고 돈을 놓고 갔다.
그 승려는 사람들이 돌부처가 솟아오르는 곳 바로 옆에 가지 못하도록 금줄을 치고 울타리를 만들어 놓고 시주함을 갖다 놓아서 멀찌감치 바라볼 수 있게 했다. 처음에는 불상의 머리가 나오고 그 다음에는 어깨 부분이 나오고 차츰 몸통까지 솟아났다.
땅에서 돌부처가 솟아오른다고 소문이 나자 수백 리 밖에서도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고 그 승려는 부처님이 땅에서 나온 곳이라고 하여 그 곳에 절을 지었는데 시주(施主)가 많이 들어와서 금방 절간이 융성해졌다. 본래 동네에 있던 오래 된 절은 신도가 끊겨서 망하고 말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땅 속에서 돌부처가 저절로 솟아오르게 할 수 있는가? 그것은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다.
먼저 돌부처를 엉성하게 하나 깎은 다음 구덩이를 깊게 판다. 그 구덩이에 콩 몇 가마니를 쏟아 붓고 그 위에 물을 슬슬 뿌린 다음 그 위에 흙을 덮는다. 그 위에 단을 놓고 그 위에 돌부처를 올려놓은 다음 흙으로 구덩이를 메꾸어 평평하게 해 두면 된다.
콩이 물을 먹으면서 천천히 몇 배로 불어나면서 돌부처를 위로 천천히 밀어 올리므로 돌부처의 머리가 지상으로 차츰 솟아오르게 되는 것이다.
불교와 관련된 설화나 전설에는 땅속에서 돌부처가 솟아올랐다거나 불상을 닮은 돌이 솟아올라서 불상을 조각하여 모셨다는 이야기가 많다. 이런 것들은 모두 사람들을 현혹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꾸며 낸 것이지 실제로 땅속에서 불상이 솟아오른 것이 아니다. 부처님이든지 하나님이든지 어떤 귀신이든지 자연의 법칙을 벗어나는 기적을 만들어 낼 수 없다.
조물주(造物主)라고 해도 만유인력의 법칙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땅에서 불상이 솟아오르게 하는 것은 물리적인 작용으로 인한 것이지 초자연적인 신의 능력으로 인한 것은 아니다.
이 세상에 기적은 없다. 이 세상에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기적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이 눈으로 본 것을 믿으려 하고 그 속에 감추어진 이치를 알려고 하지 않으므로 속아 넘어가는 것일 뿐이다.
다음의 이야기 또한 수십 년 전에 실제로 있었던 일이다. 어떤 사람이 지리산 어느 골짜기에 움막을 짓고 도를 얻겠다고 10년 동안 수행을 했다. 그러나 10년을 면벽(面壁)을 하고 산신령(山神靈)한테 기도를 했으나 아무런 깨우침을 얻지 못했다. 그는 크게 낙담하고 실망하여 목숨을 끊기로 결심하고 어느 꽃 피는 아름다운 봄날에 근처에 있는 높은 절벽 꼭대기에 올라가서 밑으로 뛰어내렸다.
그런데 그가 뛰어내리는 순간 한 줄기 회오리바람이 크게 일어나서 그의 몸뚱이가 바닥에 닿기 전에 마치 낙엽처럼 공중으로 밀어 올려 절벽 위로 도로 올려다 놓았다. 그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불가사의한 기적이 일어난 것이다.
자살을 하려고 절벽에서 뛰어내렸다가 거짓말 같이 살아난 그는 산신령한테 열심히 기도를 한 것에 대한 보답으로 산신령이 높은 절벽에서 뛰어내려도 죽지 않는 신통력을 주셨다고 철썩 같이 믿게 되었다.
그는 절벽에서 뛰어내려도 죽지 않는 불사의 능력을 얻은 것으로 믿고 열심히 자신의 능력을 널리 퍼뜨려서 사람들을 여럿 포섭하여 제자로 삼았다. 그런데 제자들이 하나같이 그의 절벽에서 뛰어내려도 죽지 않는 그의 신통력을 눈으로 보고 싶어 했다.
그는 자신만만하게 제자들 10여 명을 데리고 자신이 먼저 뛰어내렸던 절벽 꼭대기로 올라가서 제자들한테 말했다.
“잘 보아라. 너희들한테 내가 산신령님한테서 불사(不死)의 몸을 얻었다는 것을 증명하여 보여 주겠다. 내가 이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순간 산신령께서 오색(五色) 구름으로 나를 감싸서 나를 이 곳으로 도로 올려 보내 주실 것이다. 너희들은 이 기적을 보고 믿는 자가 되지 말고 보지 않고 믿는 자가 되어라.”
그렇게 말한 다음 제자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절벽에서 훌쩍 뛰어내렸다. 산신령이 오색구름을 보내 주기는커녕 그는 바로 바닥으로 곤두박질하여 그 자리에서 즉사하고 말았다.
그가 산신령이 보내 주신 신통력으로 일어난 것으로 믿었던 첫 번째 기적은 기적이 아니라 자연현상이었을 뿐이다. 바람이 좁은 골짜기에 몰려와 절벽에 부딪히면서 일시적으로 강한 상승 기류가 생겨나서 60킬로그램쯤 되는 몸뚱이를 절벽 위로 밀어 올린 것이다. 우연히 자연 현상이 일어나는 곳에 뛰어내렸기 때문에 일어난 재미있는 사건일 뿐이다.
지혜의 눈으로 보면 이 세상에 기적은 없다. 신통력도 없다. 불가사의(不可思議)라는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기적이라는 속임수에 현혹되지 말라.
출처 : 2018. 8. 12. 약초연구가 운림 스승님
기적은 없다, 신통력도 없다: 자연법칙으로 이해하는 삶의 진실
“기적이 일어났다!” 또는 “신통력을 얻었다!”라는 상기 이야기는 우리를 매혹하지만, 과연 기적과 신통력은 존재할까요?
두 가지 실화는 기적이나 신통력에 대한 믿음을 조작된 속임수와 자연현상으로 설명되며, 모든 현상은 자연법칙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적과 신통력의 허상을 벗고, 논리와 과학으로 삶을 바라보는 지혜를 탐구합니다.
1. 돌부처 실화: 기적은 조작된 속임수
성찰 질문: 당신이 믿었던 기적은 정말 초자연적인 것이었을까요, 아니면 설명 가능한 현상이었을까요?
2. 절벽의 기적: 신통력인가, 자연현상인가?
실용 팁: 이런 이상 현상을 마주하면 감정적 믿음 대신 과학적 원리를 탐구해보세요.
3. 왜 우리는 기적을 믿고 싶어 하나?
기적과 신통력에 대한 믿음은 인간의 심리와 문화적 배경에서 비롯됩니다.
- 심리적 요인: 불확실한 세상에서 기적은 희망과 안도감을 줍니다. 예를 들어, 불치병 완치나 예기치 않은 생존은 기적으로 여겨지기 쉽습니다.
- 문화적 요인: 한국의 불교, 무속신앙, 샤머니즘은 신비로운 이야기를 신앙의 일부로 삼아왔습니다. 예를 들어, 굿 같은 의식은 영적 기적을 기대하게 합니다.
- 문제점: 맹목적 믿음은 논리적 사고를 방해하고, 속임수나 조작에 취약하게 만듭니다.
현대적 해석: 현대 과학은 기적이라 불리는 현상을 물리적·생물학적 원리로 설명하며, 믿음의 허상을 벗기는 데 기여합니다.
4. 자연법칙: 기적을 대체하는 진실
내경도(內經圖) 같은 도교 철학은 우주와 인간이 자연법칙 안에서 조화를 이룬다고 가르칩니다.
기적은 자연법칙을 벗어날 수 없습니다.
- 만유인력의 법칙: 돌부처가 솟아오른 것은 콩의 팽창력, 즉 물리적 힘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 과학적 사고: 모든 현상은 인과관계로 설명 가능하며, “불가사의”는 단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원리일 뿐입니다.
- 한국 전통: 선도(仙道)나 유교는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며, 초자연적 기적보다는 내적 수련을 강조합니다.
실용 팁: 기적을 마주하면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를 물으며 원인을 분석해보세요.
5. 한국 문화와 기적 신앙: 균형 찾기
한국의 불교와 무속신앙은 기적과 신비를 신앙의 일부로 삼지만, 이는 종종 사람들의 믿음을 이용하는 도구로 변질됩니다.
- 역사적 사례: 돌부처 실화처럼, 과거에는 기적을 조작해 신도를 모으는 일이 빈번했습니다.
- 현대적 도전: 오늘날에도 점술, 굿, 신내림 같은 의식은 기적을 기대하는 심리를 자극합니다.
- 균형의 필요: 한국전통 선(仙) 같은 곳에서는 기적 대신 마음 수련과 논리적 성찰을 강조하며, 영적 성장과 과학적 사고의 조화를 추구합니다.
성찰 질문: 당신의 신앙에서 기적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그것이 논리적 사고와 조화를 이루고 있나요?
6. 기적 없는 삶을 사는 지혜
기적과 신통력을 믿지 않는 삶은 오히려 자유롭고 명확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실용적인 제안입니다:
- 논리적 사고 훈련: 현상을 볼 때 “어떻게”와 “왜”를 묻는 습관을 들이세요.
- 과학 탐구: 물리학, 생물학 같은 기초 과학을 공부해 자연법칙을 이해하세요.
- 명상과 성찰: 기적 대신 내면의 평화를 찾는 명상을 연습하세요.
- 전통 지혜 활용: 유교의 예(禮)나 도교의 음양 조화를 배우며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세요.
결론
기적은 없다, 신통력도 없다. 돌부처가 솟아오르고 절벽에서 살아난 이야기는 초자연적 힘이 아니라 자연법칙과 우연의 결과입니다. 한국의 불교와 무속신앙 속 신비로운 이야기는 사람들의 믿음을 자극하지만, 논리와 과학으로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진실이 드러납니다. 기적에 현혹되지 말고, 자연법칙과 마음 수련으로 삶의 지혜를 찾아보세요. 당신이 믿는 기적은 무엇인가요? 이제 그 원인을 탐구할 시간입니다.
'IMNewSpic > 생활픽 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의 130만 배 크기와 우주의 빈공간: 생명의 근원 (0) | 2025.05.06 |
---|---|
2025년 5월 5~11일 주간 날씨: 흐리고 비, 지역별 예보 (0) | 2025.05.05 |
생년월일 숫자로 알아보는 내 성격 유형! 당신은 몇 번? (1) | 2025.04.26 |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왔을까? 삶의 궁극적인 목적 (0) | 2025.04.24 |
곤도(袞道): 우주와 하나 되는 위대한 길 (0) | 2025.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