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방치돼 관리비 체납 딱지가 붙은 무연고 묘지.
버려진 묘지 전국 80여만 기, 함부로 화장할 수 없어 수년간 방치
"효의 시작은 관리비 납부입니다" "관리비가 장기 미납될 경우 신용정보기관에 의뢰하겠다' 경기도 파주의 한 공원묘지에 걸린 현수막이다.
분당에 있는 공원묘지에는 아예 딱지까지 등장했다. 관리비가 2년 이상 5년 미만 체납된 묘지엔 노란 딱지, 5년 이상인 경우는 파란 딱지가 붙어있다.
◇ 무연고 묘지, 전국 80여만기
보건복지부 노인관리팀에 따르면 전체 묘지 200여만 기의 40퍼센트인 무려 80여만 기가 무연고 묘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무연고 묘지는 개인이 따로 관리비를 내는 사설 묘지인 경우에 특히 심각한 실정이다.
관리비를 받고 법인이 만들어 운영하는 사설묘지가 전국적으로 120여개 정도인데 이 가운데 50% 정도가 관리비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경기도 분당의 남서울공원묘원 김봉현 전무는 "전화로 독촉하고 직접 찾아가거나 2,3,4차까지 독촉한다, 사정이 더 어려운 다른 묘지의 경우 신용정보기관 등록까지 한다고 한다"고 말했다.
관리비가 체납된 무연고 묘지가 절반에 육박하자 사설 묘지 업계는 비상이 걸린 상태다.
이러한 상황은 벽제 시립묘지도 마찬가진다. 이 곳도 오래된 비석 외에는 분간할 수 없는 묘지가 부지기수다.
용미리와 벽제 시립묘지 4만 8천 기 가운데 1만4천 기 정도가 몇 년째 방치되고 있는 상태다.
◇ 이사, 경제적 어려움, 후손들의 무관심 등으로 버려지는 묘지 급증
사설 묘지 업계 측은 무연고 묘지가 늘어나는 이유로 가족들이 이사를 하거나 경제적으로 어렵거나이민을 가는 등 연락이 잘 안될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IMF 이후 무연고 묘지가 더 늘었다고 한다. 전국공원묘원협회 이창근 사무국장은 "이사가서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틀린 경우 추적도 안되고 해서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시대가 변하면서 후손들이 돌보지 않는 묘까지 늘어 상황이 악화됐다.
후손으로 내려갈수록 조상에 대한 공경심이 갈수록 옅어져 한해 두해 찾지 않다보면 나중에는 묘소를 찾기조차 어려워 버려지게 된다는 것이다.
◇ 사태 심각하지만 대책은 없어
무연고 묘지가 절반에 육박하지만 별다른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토지소유자가 무연고임을 입증해 허가를 받거나 지방자치단체장이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법에 명시돼 있긴 하지만 어려운 상황이다.
보건복지부 노인복지팀 이창섭 사무관은 "국민정서상 어려워 무연고 묘지를 관리하기를 꺼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중에 후손들이 나타나 또 다른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다 자칫하면 분묘 발굴죄로 처벌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것이다.
노컷뉴스/국제신문 제휴사
http://doumi.3002.com (19금)
'세상만사 이모저모 > 생활리듬 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웃는 모습을 보면 사람을 알 수 있다... (0) | 2006.10.22 |
---|---|
안아주기....우리나라에서도~~ (0) | 2006.10.21 |
이건 정말 아니자나! ... (0) | 2006.10.19 |
남자와 여자가 집착할 때 ... (0) | 2006.10.18 |
이름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글자 ... (0) | 2006.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