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만사 이모저모/(구)세상사 이모저모

지구, 태양계 상식.....

by 현상아 2006. 9. 12.

1.. 우와! 지구가 정말 빠르죠

? 지구의 공전속도는 초속 약 30km(시속 10만km) - 인공위성이 초속 약 20km 이에여... 인공위성이 우주에 나갔다 귀환할 때, 지구를 놓치면 큰일이겠져...
? 지구의 자전속도는 초속 약 365m(시속 1300km) - 이 속도는 소리의 속도(음속, 마하)와 비슷하져..하지만 이는 우리나라에서이고 적도지방(시속1600km)은 더 빠르고 북극지방은 훨씬 느리져 ..
** 우리는 이러한 지구의 엄청난 속도와 소용돌이 속에서도 편안히 살고 있답니다. 이는 지구의 대기에 보호되면서 우리 주위가 모두 함께 돌고 있기 때문이에여, 달리는 기차안에서는 속도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것과 비슷하져.

2. 우주 2탄(행성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태양계 : 태양,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이 태양계 행성과 그 위성 뿐아니라 우리은하의 대부분 별들은 지구의 북극위에서 볼때 시계반대방향으로 돌고 있어여(공전, 자전 모두 말이예여)
** 이는 우주가 같은 어떤 작용에서 때어난 것 같다는 거예여 하지만 여기에두 예외는 있져...
** 목성의 위성중 4개, 행왕성의 위성중 1개(트리톤)는 시계방향으로 공전한데여.
** 또한 금성은 태양주위를 도는 공전은 시계반대방향이나 자전은 시계방향이예여. (즉, 금성에서는 태양이 서쪽에서 뜨서 동쪽으로 지는거예여)

3. 밤하늘에 보이는 별은 대체 몇 개일까여!!!

별이란 스스로 빛을 내는 "향성"을 말하는데 태양계에서 별은 태양뿐이에여. 지구는 어느 한지점에서 맑은 날 밤에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은 약 2000개랍니다.
도시와 농촌 또는 높은 산과는 차이가 있겠져... 대기의 오염도 땜이져...

태양계의 행성 9개중 밤에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는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과 태양(일), 달(월)을 따서 요일을 정했답니다. (일,월,화,수,목,금,토)
우리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에는 약 2000억개의 별이 있답니다.
우리 육안으로 보이는 별은 대부분 이 "우리은하"에 있는 별이랍니다.

4.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에서

부지런한 소몰이 견우가 옥황상제의 눈에 들어 베짜는 공주 직녀와 결혼을 하였다. 그러나 결혼 후에는 일을 하지 않고 놀기만 하여 옥황상제의 노여움을 샀다.
사랑하는 이와 헤어져 칠월칠석이면 까마귀, 까치들이 만든 오작교 위에서 눈물의 재회를 하는 거에요. 이날은 세상의 까마귀, 까치가 모두 없어진데요. 견우와 직녀는 10광년이상 떨어져 있걸랑요. 까마귀, 까치가 많이 가야겠지요. 직녀별(태양계에서 25광년)은 거문고자리별이며 견우별(태양계에서 16광년)은 독수리자리별이에여.
** 직녀별은 태양보다 60배나 큰별이에여. 그런데 태양은 지구보다 부피가 100만배(지름 100배)나 크지요...

5. 가장 빠른 발을 가진 수성(Mercury)

"수성"은 공전속도가 시속 17만km로 태양계에서 가장 빠르다. (지구 : 시속 10만km) 그래서 빠른 발을 가진 "수성"을 로마신화의 전령의 신(Mercury)을 따서 부른다.
"수성"은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어 태양빛 땜에 새벽이나 초저녁 외에는 지구에서 관측이 어렵고 태양풍에 의해 대기가 거의 없어 외부운석의 충돌이 매우 많고 온도는 낮에 480도로 밤에는 영하 180도 일교차가 매우 크다. 표면에서 태양의 크기가 지구에서보다도 10배가량 크게 보인데여.
"수성"에는 낮이 176일 지속되다가 또 밤이 176일... 해가 뜨는 지역에는 온도가 26도쯤이에여. 그래서 인간이 수성에서 살려면 해뜨는 지역으로 하루에 약 40km씩 이사를 다니면서 산소통을 메고 살면 될것 가타여(캬!! 유목민처럼...)

6. 샛별(금성)의 신비, 짙은 구름

금성의 상공에는 항상 매우 짙은 구름이 있어 심각한 온실효과로 1년내내 표면온도가 약450도로 즉, 금성표면 전체가 부글부글 끓고 있는 셈이에여... 또한 그러한 짙은 구름으로 지구에서 금성표면의 관측을 불가능하게 합니다. 반면에 이 구름이 태양광선을 잘 반사하여 금성이 특히 밝게 보여 "샛별"이라 해요. (지구에서 볼 때 태양, 달 다음으로 금성이 가장 밝게 빛나여...) 해뜨기 직전 동쪽하늘이나 해진 직후 서쪽하늘에서만 볼 수 있서여... 행성중 유일하게 역자전하므로 금성에서는 해가 서에서 뜨고 동으로 집니다. 대기가 없는 경우 태양의 복사열을 그대로 받으므로 낮과 밤의 일교차가 매우 심해서 "수성"은 400도에서 -170도, "달"은 120도에서 -180도로 변해여...

7. 붉은 행성, 화성(Mars - 전쟁의 신)

화성이 유난히 붉은 것은 지표면의 모래흙에 많이 섞여 있는 산화철 때문이라는데 이런 붉은 빛 때문에 화성의 이름이 Mars(로마신화에 전쟁의 신)로 지어졌답니다.
** 포트리스2 시작화면에 "Mars"가 나타나져.....불타는 전장,,,..탱크전이져....
화성의 표면은 화산, 협곡, 평지, 남극과 북극의 얼음 등은 지구와 유사합니다. 다른 점은 바다가 없고 화성의 반지름이 지구의 절반정도 크기 입니다. 달은 2개 대기는 매우 엷고 이산화탄소가 대부분으로 인간이 호흡하기에는 불가능 합니다.
과거에 화성인이 있다고 생각했으나 고등생물체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답니다. 하지만 지구가 황폐화되면 화성으로 이주해야 겠져...하지만 산소와 물이 문제... 남극과 북극의 얼음을 활용하면... 그런데 산소는(캬! 몰러유, 묻지마유)...

8. 태양계 행성의 제왕 목성(주피터, 제우스)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신들의 제왕 "쥬피터(로마),제우스(그리스)로 불린다. 반지름이 지구보다 11배 크고, 부피는 1300배정도 크다.
대기와 표면에 수소,헬륨이 짙게 있어 표면이 가스바다를 이루고 있다.
목성자체의 복사에너지를 약간 발산하나 태양열이 지구대비 4%정도만 도달하여 표면온도가 평균 영하120도를 유지하고 있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 일설에, 예수탄생을 동방박사에게 알리면서 베들레헴으로 인도한 별이 혜성이 아니라 목성이라는 설이 있다. (지구에서 밝기로는 태양,달,금성,목성 순이다)
** 종교재판에서 "그래도 지구는 돌고 있다"고 설파한 갈리레오가 가장 관심을 많이 가진 것이 목성이다. 그는 1610년 목성의 큰위성 4개를 발견했다...

9. 가장 아름다운 행성, 토성

토성은 빛나는 7개의 고리로 인해 가장 아름다운 자태를 보인다. 가스형 행성인 목성,천왕성,해왕성에도 고리는 있지만 이처럼 뚜렷하지는 않다.
크기는 지구직경의 9배이며, 부피는 700배에 이른다. 많은 면에서 목성과 비슷하다. 맨눈으로 볼수 있는 마지막 행성으로 고대인들은 태양계의 끝을 토성으로 여겼다. 행성중 유일하게 밀도가 물의 2/3으로 큰용기에 담으면 물에 뜨는 행성이다.
** 위성 타이탄(반지름2500Km,수성보다 크다)은 태양계 행성의 위성중 가장 크다. 대기를 가진 유일한 위성(질소가 주성분)이다.(지구대기는 질소77%,산소21%)
** 위성 엔셀라두스는 표면이 깨끗한 얼음으로 덮혀 빛반사율이 매우 높아 지구의 달위치에 온다면 "달"밝기의 10배이상으로 빛난 되여...(캬! 그럼 낮가튼 밤이 되겠져!!)

10. 옆으로 누워 도는 청록색의 천왕성

천왕성 직경은 지구의 4배, 평균온도 영하210도, 1공전 84년, 1자전 17시간이다. 천왕성은 많은 메탄가스(붉은색을 흡수하는 가스)를 지녀 청록색을 띄게 된다.
영국의 천문학자 허셜이 1781년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하다 우연히 발견하였다.
천왕성은 자전축이 공전궤도면과 거의 평행하는 기울기가 98도(지구는23.5도)이며 자전축의 북극이 태양을 향할 때도 그 반대일때도 또는 90도로 직각을 일 때도 있다. 다만 이러한 교차가 84년마다 1회전하므로 4계절중 1계절이 21년씩 걸린다.
** 천왕성도 많은 위성을 거느리고 있는데 다른행성의 위성들 이름은 거의 그리스로마신화에서 지어졌으나 천왕성위성들은 셰익스피어작품의 등장인물에서 명명됨.

11. 푸르름이 영롱한 해왕성(포세이돈 - 바다의 신)

우연히 발견한 천왕성과 달리 천문역학이론에 따른 정확한 궤도계산으로 발견된 해왕성은 크기,색깔,온도 등 천왕성과 비슷한 점이 많아 쌍둥이 행성이라 한다.
해왕성은 천왕성보다 태양과의 거리가 거의 2배나 멀리 떨어져 있으나 온도가 영하214도로 비슷한 것은 천왕성에는 없는 자체 열에너지가 해왕성에는 있기 때문이다. (가스형 행성중 천왕성만은 자체 열에너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 가장 큰 위성 "트리톤"의 공전방향은 행성의 공전과 반대방향인 역행위성이다. 이는 해왕성 및 나머지위성들과는 달리, 외부에서 끼어 들어온 것으로 추측된다.
**해왕성의 위성 8개중 큰위성 2개는 망원경으로 나머지는 보이저2호가 발견했다. 보이저2호는 1977.8월 출발, 목성,토성,천왕성을 거쳐 1989.2월 해왕성 상공 도달함.


12. 태양계의 외톨이 명왕성(Pluto-저승의신)


명왕성은 가장 작고, 가장 차갑고, 가장 멀리 떨어져 어두운 행성이다. 지구의 달보다 작고 표면온도가 영하230도에 이르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공전궤도는 긴타원형으로 공전주기 249년동안 20년은 해왕성궤도 안쪽을 돈다. 공전궤도평면이 다른 행성과 크게 다른 17도나 기울어져 공전하고 있다. 또한 자전축이 금성(177도)과 비슷하게 122도나 기울어져 있다.(지구는 23.5도) 이러한 특이한 점으로 원래 해왕성의 위성이었던 것이 이탈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표면은 암석과 메탄얼음으로 덮혀 있고 소량의 메탄이 엷은 대기층을 이루고 있다. 암석형 행성과 유사한 행성으로 위성도 1개(카론)뿐이다. 카론은 그리스신화에서 저승의 왕 Pluto의 세계를 흐르는 스틱스강의 뱃사공 이름이다.


14. 크리스마스와 양말


왜 크리스마스 전날엔 양말을 걸어두고 잘까? 아주 오랜 옛날, 터키의 니콜라스 주교는 어느 귀족의 세딸이 구혼자가 있어도 가난해서 결혼하지 못하고 있자 몰래 도와주고 싶어서 궁리 끝에 굴뚝으로 금 주머니를 떨어뜨렸는데 우연히 그것이 그 안에 걸어둔 양말 속으로 들어갔던 것이다. 여기서 크리스마스 전날 선물을 받을 양말을 걸어두는 풍습이 시작되었다. (양말 - 버선을 한자로 '말(襪)'이라고 불렀는데 개화기 이후 서양의 양말이 전해지자 '서양식 버선' 이라해서 '양말'이라 불렀음)


15. 브래지어의 유래


'메리.J.컵' 이라는 여자는 어느날 파티에 입고 갈 옷이 제대로 손질이 안되어 있어 그날 입고 갈 옷이 마땅치 않자, 하녀를 시켜 바늘과 실 그리고 두장의 손수건과 리본을 준비하도록 했다. 그녀는 치마를 입고 손수건과 리본으로 가슴만을 가린채 파티에 나갔다. 그녀는 그날 박수 갈채를 받았고 그 파티에 참석했던 어느 란제리 회사 사장은 그녀가 하고 온 그 '손수건 두장과 리본'에 흥미를 갖게되어 그녀에게 그 '손수건과 리본'의 특허를 사서 대량으로 생산하여 발전 시킨것이 오늘날의 브래지어이다.


16. 케네디 스코어


1960년대 대통령 입후자들의 TV정책 토론회에 참석한 케네디는 야구 경기에서 가장 좋아하는 스코어를 묻는 질문에 8대 7이라고 했다. 8대 7은 점수가 많거나 적어서 시시해지는 경기가 아닌 적당하면서도 승부를 예측할 수 없는 경기로 당시 그의 대답은 시청자들에게 큰 공감을 얻어 이후 경기가 8대 7로 끝나면 '케네디 스코어(Kennedy Score)'라고 표현하게 됐다.

 


우주지구상식

우주의 공간은?

우주의 별들은 절대 공간에 골고루 있지 않으며, 거의 대부분의 별들은 약 2000억개씩 항상 모여 있습니다. 이렇게 약 2천억개 정도의 별들이 모인 커다란 하나의 천체를 은하라고 합니다. 대략 우주에는 이러한 은하가 약1,000억개가 있다고 한다. 이들 은하들은 서로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데 이러한 은하들 사이에는 완벽하리만큼 거의 별이 없습니다.


 은하끼리 충돌하면?

안드로메다은하와 우리은하는 서로 가까이 있는 매우 큰 은하들이어서 중력에 의해 서로 이끌리고 있습니다. 물론 수억년쯤 지나서야 이 두 은하가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충돌을 하면 폭발하는 것이 아니고 두개의 은하가 합쳐서 더 큰 어마어마한 새로운 은하가 생길 것이라는 것이 대부분 천문학자들의 생각입니다. 실제로 아주 먼 우주에서는 이런 현상들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우리은하는 뭘 중심으로 공전을 할까요?

우리은하도 자전을 하며 공전도 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하의 자전은 잘 알려져 있는 편이지만 우리은하의 공전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모든 천체는 반드시 자전과 공전을 해야만 합니다. 그 이유는 이 우주의 어떤 천체이든 각 운동량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은하는 부근에 존재하는 은하들의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공전을 합니다.


 겨울에 별이 유난히 밝은 이유

겨울밤에 보이는 별들이 다른 계절에 비해 특별히 밝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은 날씨나 대기의 변화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다. 단지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철의 별자리중에서 밝은 별이 많기 때문이다. 밤하늘에 보이는 1등성의 반 이상이 겨울에 보이는 별이다.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개수

태양계에는 별이 태양밖에 없다. 우리에게 육안으로 보이는 밤하늘의 별들 대부분은 우리은하 내부에 있는 별들과 남반부에서는 약 16만광년의 마젤란 은하의 별, 그리고 북반구에서는 외부은하로서 230만광년의 안드로메다 은하의 별들이 보일 수도 있다. 이렇게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개수는 북반구와 남반구를 통틀어서 약 6,000개이다. 그러므로 지구의 어느 지점에 있는 우리가 밤에 볼 수 있는 별의 최대수는 3000개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도 지평선 근처에서는 대기가 별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맑은 밤에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수는 2,000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도시에서는 대기오염 등으로 적게 보일 것이고 시골로 갈수록 또는 높은 산으로 갈수록 더욱 많이 보이겠죠.


 안드로메다은하가 과연 현재도 존재할까요?

우주는 너무나 크고 천체들의 거리는 우리가 감히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멀리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은하와 가장 가까이 있는 외부은하인 안드로메다 은하는 약 230만년전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이다. 만약 오늘 이 은하가 폭발하여 사라진다고 해도 저의 손자의 손자 역시 안드로메다은하를 잘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보는 별은 몇 백년 전에 출발한 빛이기 때문에 지금은 없어졌을수도 있다.
☞ 북극성(820광년), 안타레스(600광년), 직녀성(26광년), 견우성(17광년), 태양(8분18초)


 상대성 이론

상대성이란 절대성의 반대말입니다. 즉, 이 우주의 모든 것들은 서로 상대적이지, 절대적인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30cm자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우주가 모두 2배로 커진다면 30cm자는 얼마만하게 보일까요? 자는 여전히 30cm이다. 분명히 자는 2배가 커졌지만 이렇게 모든것이 상대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이 바로 아인슈타인이 말하는 상대성 이론이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빛의 속도로 날아간다면? (상대성 이론)

상대성이론의 골자는 세상의 모든 것이 항구 불변한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각 사람의 운동상태에 따라 모든 것이 달라지는 상대적인 것이라는 이론입니다.
첫째, 빛의 속도 가까이 빨라지면 시간이 거의 멈추게 되어 늙지 않는다.
둘째, 빛의 속도에 가까워지면 모든것이 수축이 일어나 홀쭉해 보입니다.
셋째, 빛의 속도에 가까워지면 질량이 무한대에 가까워집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