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만사 이모저모/생존정보(지진,재난,전쟁,대공황등)288

빙하 감소는 지진증가 빙하 감소는 지각에 작용하는 하중이 줄어 지각판이 자유롭게 움직여 지진이 증가 빙하 감소는 지진 발생 증가의 원인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나사(NASA)와 미국지질조사국(USGS)의 과학자들은 남부 알래스카의 빙하 감소가 지진발생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 나사의 인공위성과 GPS, 컴퓨터 .. 2007. 2. 27.
녹아내리는 남극… 꽃까지 활짝 남극 세종기지에서 4km 떨어진 메리언 소만의 빙벽이 무너지는 순간. 집채만 한 얼음덩어리들이 바닷물 속으로 쏟아져 들어가고 있다. 최근 과학자들은 빙하가 무너지는 원인이 남극의 기온 상승뿐 아니라 따뜻한 해류의 유입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사진 제공 극지연구소 《지난 한 해를 ‘눈.. 2007. 2. 24.
불편한 진실(An inconvenient truth) ♣ 불편한 진실(An inconvenient truth) ♣ 2007. 2. 23.
러시아 과학자들이 실토한 충격적인 태양계 러시아 과학자들이 실토한 충격적인 태양계 두룬발로Drunvalo와 (spiritofmaat.com) 에드가 미첼Edgar Mitchell 내외곽 우주에서 기이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러시아 과학자들 중 가장 저명한 드미트리에프는 태양계, 태양, 그리고 생명체가 완전히 전례없는 방식으로 변환중임을 발견하고 있다. [태양] 태양부.. 2007. 2. 21.
킬리만자로의 비극, 대재앙의 전조인가? 킬리만자로의 비극, 대재앙의 전조인가? 아프리카의 지붕 킬리만자로의 올 3월 모습입니다. 최근 들어 미국의 강력한 토네이도, 브라질의 유래 없는 폭우, 그리고 이라크 사막지역에 쏟아진 난데없는 폭우, 또 동유럽 일원의 때 아닌 봄 홍수… 매체들은 대부분 이런 자연재해가 이상기후로 인한 것이.. 2007. 2. 21.
지구는 멸망한 적이 있다? 지구는 멸망한 적이 있다? 지금으로부터 2억년 전, 지구는 이미 한번 멸망한 적이 있었다. 고생물학계에서 얘기하는 페름기 대재앙이 바로 그것이다. 공룡이나 포유류가 등장하기 훨씬 이전인 2억 5천만 년 전 페름기, 지구상엔 도무지 수를 헤아릴 수 없을만큼 많은 수의 생명체들이 살았다. 페름기 시.. 2007. 2. 21.
금세기내에 북극 빙하가 사라진다 [동영상] 예전에 뉴스가 저러햇는데...벌써 북극 빙하는 반이 넘게 녹아버렷는데...과학도 예측을 못할만큼 지구 변혁의 소용돌이... 2007. 2. 10.
일본, 정말 지각변동에 의한 종말을 맞을까? 일본은 지진이 안 와도 떨 수 밖에 없다.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불안한' 지각 지형 위에 놓인 나라이며, 최근 50년간 10회의 대지진이 일어나 1만7천명이 넘는 인명과 10만 채의 건물을 잃었고 매년 꾸준히 천 회 이상의 크고 작은 지진을 겪고 있다. 역사적으로, 1923년엔 리히터 규모 7.9에서 8.4 사이로 추.. 2007. 2. 8.
인류역사상 최악의 재앙들 기원전부터 현재까지, 인류의 기록에 남아있는 최악의 재난들 리스트. 흥미로운 것은 역사상 가장 많은 인류의 목숨을 앗아간 재난은 바로 기아라는 점. (그 다음은 전염병) 지진, 화산 폭발, 해일, 질병 등에 의해 목숨을 잃은 희생자 수를 모두 합치더라도 굶어 죽은 사람들의 수의 절반에도 미치지 .. 2007. 2. 8.
깊이 22m 거대 구멍, 집 삼켜 버려 날벼락 깊이 22m 거대 구멍, 집 삼켜 버려 날벼락 주택가 한 복판에 직경 20m, 깊이 22m의 거대한 구멍이 생기는 바람에 인근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는 사건이 일어났다고 15일 스프링필드 뉴스리더 등 미국 언론이 보도했다. 언론에 따르면, 갑자기 땅이 꺼져 거대한 구멍이 생긴 사건은 지난 일요일 오전 미국 미.. 2007. 1. 29.
빙하 덮였던 곳에 웬 섬이? "“어, 빙하 덮였던 곳에 웬 섬이…”" [동아일보] 북극 탐험가 데니스 슈미트(60) 씨는 지난해 9월 그린란드 동부지역을 탐험하다가 예전에 못 보던 섬을 발견했다. 40년간 북극을 탐험한 슈미트 씨는 믿기지 않아 지도를 꼼꼼히 살펴봤다. 하지만 지도에는 분명 빙하로 뒤덮인 반도로 표시돼 있었다. 빙.. 2007. 1. 18.
지구온난화와 엘니뇨현상이 중복되는 2007년 ▒ 2007년 가장 뜨거운 해 지구온난화와 엘니뇨 (El Nino)현상이 중복되면서 2007년 기후는 가장 뜨거운 해가 될 것이며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날 것이라고 영국의 기후학자가 경고했다. 이미 영국의 새해는 폭풍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앞으로 12개월동안 극단적인 기후패턴이 발생하여 인도네시아에는.. 2007.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