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와 공유를 모티브로 한 웹2.0 트랜드에 맞춰 작년 한해 포털 시장에는 개인화 페이지, UCC와 같은 서비스들이 붐을 이뤘다. 올해 역시 포털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개인화 서비스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개인화 페이지들의 시장 형성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포털 업계에서도 관련 신규서비스들을 대거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포털들이 선보이는 신규서비스들은 대부분 기존 서비스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단순히 개인화 페이지를 넘어 1인 미디어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
◆ NHN
▲ 네이버 ‘블로그 시즌2’
NHN이 올해 선보일 대표적인 서비스 ‘네이버 오피스’와 ‘블로그 시즌2’가 될 것이다.
‘네이버 오피스’는 말 그대로 오피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PC상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네이버의 접속을 통해 워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등 기본적인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네이버 오피스는 무료서비스이며 1분기 말이나 2분기 경에 베타로 실시될 예정이다.
‘블로그 시즌2’는 현재 첫 번째 에피소드인 ‘아임 어 블로그 디자이너(I'm a blog designer)’가 진행 중인 상태, 네이버는 ‘디자인 리모콘’이란 툴을 적용 타이틀, 스킨, 구성 등의 디자인을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블로그 시즌2는 올해 에피소드4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 SK커뮤니케이션즈
SK커뮤니케이션즈의 큰 변화는 대표 서비스라 할 수 있는 싸이월드의 후속 버전 ‘C2(가칭)’ 출시이다.
C2는 다양한 위젯을 적용, 홈페이지 구성을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꾸밀 수 있는 서비스이다. 즉 목적에 따라 동영상이나 사진만으로 구성된 게시판 또는 관심사를 주고받는 블로그, 클럽/카페 등의 커뮤니티 서비스로 더 나아가 커머스 등의 플랫폼으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네이트’에서는 게시판UCC 서비스인 ‘판’이 주목을 끈다. SK커뮤니케이션즈는 비실명 기반 오픈 커뮤니티인 ‘판’서비스를 통해 최대의 UCC 개방형 DB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중순경 ‘마이네이트’를 개편할 예정이다. 마이네이트는 RSS 공유라는 개념을 베타서비스에서 시도, 검색과 다른 서비스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 다음커뮤니케이션즈
▲ 다음 베타서비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올 해 동영상 서비스와 검색 부문을 강화해 온라인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다진다는 계획이다.
지난 23일 다음은 이원화 운영되던 동영상 전문 서비스들을 ‘TV팟’ 브랜드 하나로 통합하기도 했다. 여기에 동영상 UCC 제작을 돕는 다양한 서비스로 일반인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나갈 방침이다.
또한 지난 해 12월에 선보인 동영상 UCC와 검색 서비스를 연동한 동영상 지식검색 서비스 ‘신동지식’ 서비스를 올 상반기 중에 다음 신지식 서비스를 통해 누구나 답변을 동영상으로 올릴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현재 다음이 진행하고 있는 베타서비스로는 ‘애드클릭스’, ‘웹인사이드’, ‘다음 DNA’, ‘다음 위젯바’, ‘다음 즐겨찾기’, ‘다음 툴바’, ‘다음 멀티킷’ 등이 있다.
◆ KTH
KTH도 자사 포털 사이트인 ‘파란’을 통해 UCC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올해 파란은 개인화된 라이프 포털 구현을 모토로 삼고 있는 개인 멀티미디어 UCC 공간인 ‘푸딩’ 서비스를 준비 중에 있다. 1분기 내 오픈 예정으로 블로그 및 푸딩 등과 연계한 UCC 기반의 지역정보 서비스와 함께 사용자의 참여가 확대된 뉴스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이를 통해 파란은 기존 검색, 뉴스, 메일, 미니홈피 등과 같은 기능성 중심의 포털에서 개인화 중심임 생활형 포털로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정비하고 있다.
◆ 핵심은 개인화
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올해 포털들의 신규 서비스는 개인화 페이지의 대대적인 개편이다. 이는 웹2.0 트랜드따라 사용자들이 단순 방문자가 아닌 생산자 비중으로 성장함에 있어 서비스도 이에 맞게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포털의 개인화 페이지 개편은 UCC 등 멀티미디어 요소의 추가로 인한 1인 미디어 지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사 내 타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가치를 추구해 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컨버전스 서비스의 개발을 위한 포털들의 신기술 확보전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세상만사 이모저모 > (구)세상사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6년의 기이한 10대 과학 뉴스 ... (0) | 2007.03.15 |
---|---|
위젯(Widget)의 시대가 온다 ... (0) | 2007.03.15 |
직종별 주요 공무원 연봉.봉급표 ... (0) | 2007.03.15 |
엔진의 모든 것 3D (0) | 2007.03.14 |
온라인에 떠도는 주민번호 정리하세요” (0) | 2007.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