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예술 및

최석운의 풍속화

by 현상아 2007. 5. 6.

Exhibition by Choi Suk-Un


최근 그의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풍속화를 계승하고자 하는 노력의 흔적이
더욱 절실한 형태로 반영하고 있다.

복날

"씨름" "복날" "나무에 오줌누는 남자" "옥수수" 등의
작품은 이와 같은 관심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

씨름

화면속의 구도는 일관된 시점이나 통일성을 지향하지 않고
화면 밖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각 인물들의 행위 또한 현실에 대한 심각한 고발이나
처절한 투쟁보다 대상과의 일정한 거리를 통해 냉철한 관찰자 혹은
기록자로서의 시점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오줌누는 남자

우리는 단원 김홍도의 작품속에 깃들어 있는
그 놀라운 해학정신을 목격할 때가 많다.
단원은 자신이 표현하고자 한 대상과의 거리를 유지하며
작품속에 당대의 삶의 풍속을 가장 정직하게 그려내었던 거장이다.

단원 _ 씨름

특히 "씨름"을 보면 씨름에 열중하고 있는 두 장정과
그들의 경기를 응원하고 있는 관중과는 아랑곳없이
엿판을 메고 있는 천진한 총각을 통해 비속한 일상을 넘쳐나는
재치와 활달한 필치로 그려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석운 _ 옥수수

화면의 중심은 지금 막 씨름을 벌리고 있는
두 장정에게 집중되고 있으나 그에 못지않게 화면은
둘러앉은 관중들이 화면 밖으로 확장되므로써 단원 다운 면의
자율성과 해학적 정신의 깊이를 보여 주고 있는데
최석운은 이 그림이 볼 수 있는
공간의 깊이와 정신의 자유로움에 매료된 것 같다.

돼지꿈

"복날"처럼 비속한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을 통해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괜스래 젠체하는 예술의 세계에
야만적인 식욕을 충족시키는 풍속을 담아 내었다는 것이 아니라
그 공간의 자유로운 표현이다.

낮잠

항간에 흠씬 두둘겨 죽인 개의 살코기가 맛있다는
통념이 유포되고 있으며 실제로 삼복더위마다
그런 일이 되풀이 되고 있는지 모르지만
그의 관심은 이러한 풍속의 재현이 아니라
그 공간 구조의 설정에 있다.

전화를 기다리는 남자

나무에 매단 개를 연신 구타하고 있는 야만적인 사람들과
그것을 군침을 흘려가며
입맛을 다시고 있는 도회지에서 온듯한 사람,
인간의 도륙행위를 마치 조소하기라도 하듯 막 도살된 동족이 삶길 솥에 오줌을 갈기고 있는 또 다른 개의 모습이 흡사 무대위에서 이루어지는 한바탕 연극처럼 묘사되고 있다.

태몽

이 그림에서 개별 대상은
제각기 중요성을 지니면서 우리의 시선을 분산시키고 있으며,
복날의 정경을 필림 위에 정착된 이미지처럼 재현하고 있다.

핸드폰을 든 남자

그러나 그 이미지는 어차피 허구이며 연극이다.
그렇기 때문에 극적인 분위기의 연출을 위해
그는 반어적인 수사와 해학적 장치를 도입하고 있는 것이다.

외출

네 변으로 분산되고 있는 구도에 의해
그림의 공간은 더욱 확장되고 있으나 화면은 꽉 차 있는 듯 하다.

에어로빅

인간의 행위를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는 소의 형상은
단원의 그림에서 씨름경기와는 관계없이 자신의 생업에 열중인
엿장수의 무표정을 연상시키게 만든다.

병속의 남자

자유로운 구도 위에 이루어 지는 넉넉함은
우리 민족의 정서 속에 깊이 각인돼 있는
휴머니즘과 낙천적인 정신까지 담아내고있어
그에 대한 신뢰를 더욱 굳게 만든다.

번지점프

현대미술의 저 세련된 첨예한 이론에 물들지 않고
자신의 세계를 묵묵히 구축하고 있는 배짱과 고졸한 표현과
상투형에 대한 경고에 의해 전혀요지부동인 그 단단한 자존심을
재산으로 여기고 있는 그는
오늘도 화가로서의 자신의 일을 숙명처럼 받아 드리며
장인적 기질을 화폭 속에 그대로 드려내고 있다.

담배피는 여자

이런 이유로 나는
그가 우리시대의 진정한 환쟁
- 세속적 평가에 구에받지 않고 자기 나름대로의 세계를 꾸려가는 -
한 사람이고 생각한다.

낚시

최 태만 (미술평론가) 

 

 

 무료프로그램-도구막대(tool·bar)/꾸러미(package)/사진관리/  & 유용한 정보

 

    AGLOCO™(a Global Community

 

   

 

   


'문화 예술 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사진  (0) 2007.05.07
기다림의 미학 / 최석운  (0) 2007.05.06
모딜리아니(Modigliani, Amedeo) 1884.7.12 ~ 1920.1.24  (0) 2007.05.06
고호의 편지  (0) 2007.05.06
아름다운 사진[대서천님 작품]  (0) 2007.05.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