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문현 건국대 교수 `복원 23년` 결실
물통 제자리 찾는 연구만 15년 걸려
건국대 남문현(65.전기공학) 교수는 21일 한복을 차려 입고 서울 세종로 고궁박물관에 나타났다. 조선시대 표준시계인 보루각(報漏閣) 자격루(自擊漏)를 20년이 넘는 연구 끝에 복원해 시연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날 남 교수가 이끄는 건국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완성한 자격루 복원품을 공개했다. 길이와 높이가 각 6m에 너비가 2m로 박물관 지하 전시실 한 방을 채우는 거대한 규모다. 물이 고였다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하며 쇠구슬을 굴려 인형들이 자동으로 시간을 알리게 한 당시 원리에 따라 복원된 자격루는 이날 오전 11시 작동을 시작했다.
남 교수가 자격루에 처음 관심을 가진 것은 1984년, 미국 버클리대 지도교수의 권유 때문이었다. "자동제어장치 전공자라면 우리나라 최초의 자동제어장치에 관심 가질 만하지 않나요"라고 그는 되물었다.
문헌 자료는 '세종실록' 65권 보루각기. 하지만 설계도도 없는 2000자짜리 문서만으로 원리를 파악하기엔 역부족이었다. 표현도 모호했다. 자동 시보장치를 움직이는 두 가지 구슬의 규격이 중요한데 문헌엔 그저 "작은 것은 탄알만 하고 큰 구슬은 계란만 하다"고만 적혀 있었다. 그래서 남 교수가 제일 먼저 한 일은 토종닭의 달걀 크기 측정이었다. 또 당대의 물시계들을 보러 중국.일본 등지로 숱하게 다녔다.
그가 모델로 삼은 것은 덕수궁에 있는 자격루. 세종 16년(1434) 장영실이 만든 것을 중종 31년(1536) 개량한 것이다. 현재 물받이 원통과 물통만 남아 있다. 창경궁에 있던 것을 1911년 무렵 일본인 학자들이 덕수궁으로 옮기면서 배열이 엉망이 됐다. 이 물통의 제자리를 찾는 연구에만 15년이 걸렸다.
"알고 있는 현대적 원리의 회로를 지우고, 거꾸로 더듬어 올라가면서 옛날 방식의 기계 논리를 체득했습니다."
건국대 남문현 교수가 20년이 넘는 연구끝에 복원해 21일 시연행사를 연 보루각(報漏閣) 자격루(自擊漏)앞에서 그동안의 연구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태성 기자] |
97년이 돼서야 문화재청과 함께 본격적인 복원 설계 작업이 시작됐다. 2004년 12월부터 1년간 제작에 들어갔다. 전통 단청장, 유기장, 옻칠장 등 무형문화재급 장인과 기계공학자 등 '선수' 32명으로 팀을 꾸렸다. 10여 년간 연구한 설계도는 재현 과정에서 무수히 변경됐다. 이렇게 해서 2005년 12월, 자격루 1차 복원에 성공했다. 남은 것은 정밀도를 높이는 일. 물시계가 정확히 작동하려면 물 관리가 필수다. 조선시대에도 자격루 옆에 난방장치를 뒀을 정도로 항온 항습에 주의했다.
내년 2월 정년 퇴임하는 노학자의 집념은 그침이 없다.
"이번에 복원한 보루각 자격루 외에 자격루는 하나 더 있었습니다. 흠경각 자격루입니다. 이 복원도 끝나야 비로소 자격루를 완전히 복원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격루(自擊漏)=물이 고이는 양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물시계는 삼국시대부터 나라의 표준 시계로 사용됐다. 세종 16년(1434) 장영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아라비아식 자동 시보장치를 물시계와 결합한 보루각 자격루를 만들었다. 쥐.소 등 12지신상이 두 시간마다 창 밖으로 나와 시간을 알린다. 밤에는 또 다른 인형이 나와 북과 징을 울렸다. 장영실의 자격루는 임진왜란 때 소실됐으며, 현재 남아 있는 자격루(국보 제 229호)의 일부분은 중종 31년(1536) 설치돼 1895년까지 표준시계로 사용되던 것이다.
권근영 기자
'인테리어·디자인 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인에게서 배우는 쉽게 페인팅하는 방법. (0) | 2007.12.20 |
---|---|
여러 가지 역할을 가진 방, 그것이 거실입니다. (0) | 2007.12.20 |
안습의 황당한 기업 로고들 ...ㅎㅎㅎ (0) | 2007.11.20 |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다리들의 ... (0) | 2007.11.03 |
애정의 부부운을 높여주는 공간 (0) | 2007.10.31 |
댓글